2022-10-24 뉴스원 코리아
 |
에이트테크 제공 |
에이트테크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RETECH 2022’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스스로 선별하고 분리해 내는 로봇 ‘에이트론’을 소개했다.
딥러닝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자원순환 선별로봇’이다.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무수히 쏟아져 들어오는 재활용 폐기물들을 비전이 빠르게 스캔하고, 각 개체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약 40만 건 이상의 빅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 로봇이 자동으로 재활용 폐기물을 완벽하게 선별하고 분류한다.
플라스틱, 유리병, 캔 크게 3종류의 대분류 아래 투명, 녹색, 백색 등 각양각색의 병과 페트를 더욱 세분화해서 선별하는데 14가지 구분이 가능하다. 정확도는 92% 이상의 분석률을 기록한다. 분당 최대 96개까지 선별 작업이 가능하다.
광학선별기와 다르게 ‘투명 페트병’과 ‘일회용 투명 플라스틱 컵’ 까지 분류해낸다.
에이트론은 인식부, 전환부, 분석부, 선별부, 감시부, 총 5가지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폐기물의 개체를 비전으로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인식부가 있다. 이후 분석부가 폐기물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 하여 전환부로 보낸다.
전환부는 로봇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후 로봇에게 개체의 종류와 위치를 보내고, 그 자료를 받은 선별부의 로봇이 해당 좌표에 가서 피킹을 하고 선별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감시부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의 실시간 진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에이트테크 제공 |
현장에서 사용 중인 컨베이어 벨트에 그대로 얹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금이 비교적 적게 든다. 컨베이어 벨트의 크기, 작업장의 구조 등 공장별 상황에 맞는 맞춤제작이 가능하며, 선별 품목의 우선순위도 정할 수 있다. 압축/비압축 폐기물 모두 선별이 가능하다. 찌그러진 개체와 원본을 그대로 유지한 개체 모두 식별할 수 있다.
에이트론은 인천 송도 자원회수센터에서 실증사업을 마치고 재활용 선별 작업장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력이 선별 작업을 하는 경우 분당 처리할 수 있는 선별 개수는 25~30개 정도지만 에이트론의 경우 분당 최소 60개에서 96개까지 선별할 수 있다.
haezung2212@news1.kr
2022-10-24 뉴스원 코리아
에이트테크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RETECH 2022’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스스로 선별하고 분리해 내는 로봇 ‘에이트론’을 소개했다.
딥러닝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자원순환 선별로봇’이다.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무수히 쏟아져 들어오는 재활용 폐기물들을 비전이 빠르게 스캔하고, 각 개체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약 40만 건 이상의 빅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 로봇이 자동으로 재활용 폐기물을 완벽하게 선별하고 분류한다.
플라스틱, 유리병, 캔 크게 3종류의 대분류 아래 투명, 녹색, 백색 등 각양각색의 병과 페트를 더욱 세분화해서 선별하는데 14가지 구분이 가능하다. 정확도는 92% 이상의 분석률을 기록한다. 분당 최대 96개까지 선별 작업이 가능하다.
광학선별기와 다르게 ‘투명 페트병’과 ‘일회용 투명 플라스틱 컵’ 까지 분류해낸다.
에이트론은 인식부, 전환부, 분석부, 선별부, 감시부, 총 5가지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폐기물의 개체를 비전으로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인식부가 있다. 이후 분석부가 폐기물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 하여 전환부로 보낸다.
전환부는 로봇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후 로봇에게 개체의 종류와 위치를 보내고, 그 자료를 받은 선별부의 로봇이 해당 좌표에 가서 피킹을 하고 선별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감시부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의 실시간 진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현장에서 사용 중인 컨베이어 벨트에 그대로 얹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금이 비교적 적게 든다. 컨베이어 벨트의 크기, 작업장의 구조 등 공장별 상황에 맞는 맞춤제작이 가능하며, 선별 품목의 우선순위도 정할 수 있다. 압축/비압축 폐기물 모두 선별이 가능하다. 찌그러진 개체와 원본을 그대로 유지한 개체 모두 식별할 수 있다.
에이트론은 인천 송도 자원회수센터에서 실증사업을 마치고 재활용 선별 작업장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력이 선별 작업을 하는 경우 분당 처리할 수 있는 선별 개수는 25~30개 정도지만 에이트론의 경우 분당 최소 60개에서 96개까지 선별할 수 있다.
haezung2212@news1.kr